이번 버전은 좌우상하 사이즈를 대폭 늘려봤다. 280mm x 210mm로, 대충 A4 용지 사이즈. 두께는 여전히 슬림하지만 좌우상하 너비는 슬림하지 않게 되었다.
스위치를 체리mx 적축이 아닌 카일 로우프로파일 적축을 사용했다.
각 부품별 라우팅 패턴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결하고 다듬었다. 가지치기 라우팅(일명 stub pattern)과 90도 라우팅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했다.
좌측에 기능 변경 단축키를 실크로 새겨넣었다.
OLED를 메인 기판 상부가 아닌 하부에 조립했다.
원래는 기울어진 키와 마찬가지로 각 키에 사용되는 LED 및 캐패시터도 기울기를 맞춰 부여했었는데, LED 및 캐패시터는 0도 혹은 90도로 모두 변경했다. 비스듬하게 기울이지 않고 수평 혹은 수직 형태로만 배치했다는 얘기이다. 이 덕분인지 발주부터 수령까지 딱 5일 걸렸다.
gp2040 0.7.5부터 매크로 기능을 지원한다. 이 때문에 매크로 스위치를 별도의 택트 스위치로 빼두었다.
터보는 터보 LED 핀을 별도로 지정해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LED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전 프로토타입에서 확인했기 때문에.. 역시 택트 스위치로 변경했다.
캡쳐 및 홈 버튼도 그리 자주 쓸 것 같지 않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로 뺐다.
(실제 게임에는 쓰이지 않는 기능키이면서 카일 로우프로파일 스위치를 사용한 키는 스타트, 셀렉트, 펑션 이 3가지만이다)
기능 변경 단축키 목록. 2번 3번 문단의 단축키는 gp2040의 고유 설정이다. 1번 4번 문단의 단축키는 사용자 마음대로 변경 가능한 부분.
케이스를 완성한 직후. 역시 실수한 부분이 2가지 있는데 ㅋㅋ
1) 엄지 점프키의 키캡 사이즈를 잘못 설계하는 바람에, 다른 키의 키캡과 동일한 키캡을 장착했다. 원래는 좌우 사이즈가 좀 더 긴 키캡을 사용한다.
2) 후면부 피코가 조립되는 부분 타공치수를 잘못 설계하는 바람에, 조립이 잘 안 맞았다. 셀프로 추가타공하여 보완했다.
마침 기존 체리mx 적축을 사용한 샘플이 있어서 키 높이를 비교해봤다. 확실히 로우프로파일 쪽이 낮긴 하다. 단점이라면 아직까지는 스위치나 소켓이나 모두 해외주문으로만 구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게이트론 로우프로파일도 고려를 해보긴 했었다. 이쪽은 그나마 스위치는 국내구매가 가능)
'Zyclant Box (히트박스, 믹스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자작 슬림 왼손 믹스박스 4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1) | 2023.12.19 |
---|---|
5. 자작 슬림 오른손 믹스박스 3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역방향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0) | 2023.12.05 |
4. 자작 슬림 왼손 믹스박스 2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0) | 2023.12.02 |
3. 자작 슬림 오른손 믹스박스 1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역방향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0) | 2023.11.23 |
2. 자작 오른손 역방향 히트박스(믹스박스, 역트박스) 제작 준비물 (0) | 2023.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