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오른손 2회
2차 왼손
그리고 3차 오른손 기판을 주문했었다.
2차 기판에서 LED가 작동하지 않았던 점, USB C 커넥터가 먹통이었던 점을 주로 살펴 설계를 보완했다.
케이스 조립 후 연결한 모습. 드디어 LED가 빛난다. 우측 상단에 따로 빼놓은 USB C 중 한 곳에 연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만든 두 프로토타입들과 달리 pcb 상부로는 모든 스위치를 감싸는 하우징 스타일로 케이싱을 해봤는데, 타건소음이 굉장히 줄어서 놀랐다. 이번 건 rgb타입이고 이전 건 일반타입이지만 그래도 같은 체리의 적축 스위치인데.. 상당히 의외였다.
역시나 이 기판에도 치명적인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있는데 ㅋㅋ
1) LED 들어오지 않는 스위치 발생
GP2040-CE 0.7.4에서 설정 가능한 LED 발광 스위치는 a, b, x, y, l1, l2, l3, r1, r2, r3, a1, a2, s1, s2, up, down, left, right로 총 18개이다. 하지만 나는 up을 하나 더 추가했고, a2(캡쳐)를 뺐으며, 터보를 넣었다. 터보의 경우 별도의 GPIO를 할당하여 터보 전용 LED로 동작하도록 했어야 했는데.. 이걸 뒤늦게 알았다. 이 때문에 2개의 스위치는 발광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다음 설계에서는 몇몇 스위치를 아예 똑딱이 스위치(택트 스위치)로 변경해버렸다.
2) SMD 부품들의 조립위치
OLED 좌우측, 라즈베리 파이 피코의 상단, USB C 커넥터 측면 등에 보면 SMD 부품들의 공간 확보를 위해 네모난 구멍을 뚫어놨다. 각자 연관이 있는 위치에 배치한 것이었지만, 한 곳에 몰아놔도 딱히 문제는 없었다... 게다가 타공을 위한 도면작업 시 더 번거롭다. 이 때문에 다음 설계에서는 SMD 부품들을 크게 두 군데로 나눠서 배치하였고, 그 바깥선에 실크스크린 영역을 부여했다. 차후 easyeda에서 dxf로 export 했을 때 실크스크린 영역을 그대로 타공영역으로 잡아버리면 간단해지기 때문.
이제 기판과 관련한 문제는 다 해결한 것 같다. 다음 발주는 이번에 생긴 자잘한 문제까지 다 잡아서 진행할테지만.. 체리 mx 스위치가 아닌 다른 스위치를 써보고 싶어졌다. 카일, 게이트론에서 나오는 로우 프로파일 스위치 같은?
'Zyclant Box (히트박스, 믹스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자작 오른손 믹스박스 5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역방향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2) | 2024.02.07 |
---|---|
6. 자작 슬림 왼손 믹스박스 4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1) | 2023.12.19 |
4. 자작 슬림 왼손 믹스박스 2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0) | 2023.12.02 |
3. 자작 슬림 오른손 믹스박스 1차 프로토타입 (지클런트 박스, zyclant box, 역방향 히트박스, 역트박스 diy) (0) | 2023.11.23 |
2. 자작 오른손 역방향 히트박스(믹스박스, 역트박스) 제작 준비물 (0) | 2023.11.09 |
댓글